•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News
  • Editor’s Pick
  • Events
  • CryptoQuant
  • News
  • Editor’s Pick
Bitcoin $36,588.95 ₩40,031,012 K-Premium 1.18%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업비트, 오후 6시부터 비트코인 입출금 재개
#업비트
업비트, 오후 6시부터 비트코인 입출금 재개
김동환 2019-12-04 16:12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4일 오후 6시부터 비트코인(BTC) 입출금을 재개할 방침이다.업비트는 3일 홈페이지에 비트코인 지갑 시스템이 변경됐다는 내용의 공지를 올리면서 입출금 재개 계획을 밝혔다. 공지에 따르면 업비트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비트코인 입금 주소는 향후 사용이 불가능하다.업비트는 "기존 입금 주소는 본 공지 게시 이후 삭제된다"면서 사용자들에게 반드시 새로운 비트코인 입금 주소를 발급받으라고 요청했다. 기존 입금 주소로 비트코인을 입금할 시 복구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오입금 복구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다고 업비트는

업비트 탈취 이더리움, 바이낸스·후오비로 일부 유입
#업비트
업비트 탈취 이더리움, 바이낸스·후오비로 일부 유입
박근모 2019-11-28 22:33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알 수 없는 지갑으로 유출된 이더리움 34만2000개(원화 약 580억 원) 중 일부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와 후오비로 들어간 정황이 확인됐다.블록체인 보안 업체 웁살라시큐리티는 업비트에서 탈취된 이더리움을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28일 공개했다.웁살라시큐리티가 개발한 암호화폐 추적 솔루션인 센티넬프로토콜의 CATV로 업비트에서 유출된 이더리움을 추적한 결과 바이낸스와 후오비의 개인 유저 지갑으로 각각 0.0013, 0.0009씩 이동됐다. 웁살라시큐리티에 따르면, 업비트에

입출금 막힌 업비트 "투자 유의해달라"
#업비트
입출금 막힌 업비트 "투자 유의해달라"
김동환 2019-11-28 20:16

580억원 상당의 암호화폐 이상거래 발생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28일 5종의 암호화폐를 투자유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시장 진화에 나섰다.업비트는 이날 홈페이지 공지에서 "일부 암호화폐의 가격과 글로벌 시세간의 가격 차이가 크게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세가 매우 불안정한 상황이니 투자에 유의해 달라"면서 △디마켓(DMT) △디센트럴랜드(MANA) △가스(GAS) △트웰브쉽스(TSHP) △썬더토큰(TT) 등을 투자유의 종목으로 일시 지정한다고 밝혔다.이들 5종류의 암호화폐는 전일인 27일 시초가에 비해

[속보] 업비트 탈취 이더리움 움직임 포착
#업비트
[속보] 업비트 탈취 이더리움 움직임 포착
박근모 2019-11-28 17:02

지난 27일 오후 1시 6분경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빠져나간 이더리움(ETH) 34만2000개 중 일부가 또 다른 알 수 없는 지갑으로 전송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이더리움 거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이더스캔(etherscan)'에 따르면, 업비트에서 빠져나간 이더리움 지갑 주소(0xa09871AEadF4994Ca12f5c0b6056BBd1d343c029)에서 28일 오후 4시 8분 53초경에 10 ETH가 또 다른 지갑으로 이동됐다. 이번에 이동된 이더리움은 11만1020ETH로 이 지갑에는 23만980ETH가 남아있

2019 거래소 해킹사건 Top 7...업비트 규모 '최대'
#거래소
2019 거래소 해킹사건 Top 7...업비트 규모 '최대'
John Biggs 2019-11-28 15:00

코인데스크는 현재까지 벌어진 2019년 주요 거래소 해킹 7건을 선정했다. 국내 거래소 중에는 빗썸과 업비트가 포함됐다. 1월 크립토피아 $1600만뉴질랜드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Cryptopia)는 지난 1월 두차례 해킹을 당해 "엄청난 손실"을 입었다. 크립토피아가 경찰 수사중이어서 정확한 해킹 피해액을 밝히지 않았지만, 약 1600만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크립토피아는 3월에 재정적으로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로 영업을 재개했으나 결국 5월에 파산했다. 크립토피아의 청산관리 법인은 크립토피아의 빚이 273만 8천달러, 약

업비트, 580억 상당 이더리움 '이상거래'
#이더리움
업비트, 580억 상당 이더리움 '이상거래'
박근모 2019-11-27 18:21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이더리움 약 580억 원 어치의 이상거래가 발생했다.업비트는 27일 오후 5시 56분 공지를 통해 오후 1시 6분 경 업비트 이더리움 핫월릿에서 34만2000개의 이더리움이 알 수 없는 지갑으로 전송됐다고 밝혔다. 해킹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업비트는 이와 관련해 '이상거래'라는 용어만 썼을 뿐, 해킹 또는 내부자소행 등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다.앞서 온체인 거래 내역 알림 서비스인 '웨일 얼렛(WhaleAlert)'은 한국 시각으로 오후 1시 6분 41초 경 업비트의 이더리움 지갑에서 알려지지

업비트, 비트렉스와 오더북 공유 중단
#업비트
업비트, 비트렉스와 오더북 공유 중단
정인선 2019-10-25 16:59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제휴사 비트렉스와의 오더북 공유를 중단했다.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지난 9월 25일과 10월 18일 거래소 공지사항을 통해, 25일 오전 11시부터 이더리움(ETH)마켓 거래 지원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두나무는 또한 앞으로 업비트의 BTC 마켓과 USDT 마켓 호가창에 업비트 회원이 접수한 주문만 노출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비트렉스와의 오더북 공유를 중단하고, 업비트가 자체적으로 BTC 마켓과 USDT 마켓을 운영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다른 주요 거래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2017년 10월 문을 연

카카오 블록체인 클레이튼에 코인원·OKEx·댑닷컴 등 합류
#코인원
카카오 블록체인 클레이튼에 코인원·OKEx·댑닷컴 등 합류
정인선 2019-10-25 14:51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회사 그라운드X가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생태계에 암호화폐 거래소와 지갑 등이 대거 합류했다.그라운드X는 25일 자료를 내어, 암호화폐 거래소와 지갑 기업, NFT(대체불가능토큰) 거래 플랫폼, 댑 통계 사이트 등이 클레이튼 생태계에 '에코시스템 파트너'로 새로 합류했다고 밝혔다. 그라운드X측은 이를 계기로 클레이튼 중심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했다.암호화폐 거래소 가운데는 △업비트 인도네시아 △코인원 △오케이이엑스(OKEx) △비트포렉스(BitForex) 등 네 곳이 클레이튼

헤데라해시그래프, 국내서 120억원 규모 토큰판매 사기 논란
#업비트
헤데라해시그래프, 국내서 120억원 규모 토큰판매 사기 논란
박근모 2019-10-25 14:00

 차세대 분산원장 플랫폼을 내세우며 올 한해 큰 관심을 받은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pah, HBAR)와 관련해 국내에서 120억 원에 달하는 토큰 판매 사기 논란이 발생했다.지난달 17일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헤데라 해시그래프가 상장했다.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업비트에 상장 직후 폭등했다 폭락했다. 문제는 업비트 상장 예정 공지(8월 27일)와 함께 대규모로 헤데라 해시그래프 토큰 판매가 이뤄졌다. 이때 토큰 판매에 참여한 이들 중 누구도 HBAR을 받지 못했다. 그나마 투자자 중 일부는 투자금을 돌

김진태 "업비트, 법 악용해 루나·클레이 상장"
#업비트
김진태 "업비트, 법 악용해 루나·클레이 상장"
정인선 2019-10-08 16:00

두나무 자회사 두나무앤파트너스가 투자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테라의 암호화폐 루나(LUNA)가 업비트에 상장된 것과 관련해,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이 “입법 공백을 이용한 셀프 상장”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8일 금융감독원 국정감사를 앞두고 발표한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두나무앤파트너스는 지난해 3월 설립된 투자전문회사로, 두나무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두나무와 두나무앤파트너스는 지난 5월 자료를 내어, 1년여 간 26개 기업에 약 550억 원의 투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신현성 티몬 의장이 공

김진태 의원 "업비트의 허위·자전거래, 시장질서 교란"
#거래소
김진태 의원 "업비트의 허위·자전거래, 시장질서 교란"
정인선 2019-10-04 17:39

사기 및 사전자기록위작 등 혐의로 검찰에 기소된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대해,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이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소비자를 기만해 피해를 양산했다"고 비판했다.김 의원은 4일 금융위원회 국정감사 질의를 앞두고 발표한 자료를 통해 "업비트의 범죄사실은 가뜩이나 하락세인 암호화폐 시장의 질서를 교란시키고, 소비자를 기만해 피해를 양산하는 악질적 행위"라며 "금융위원장은 특금법(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에 관 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런 악질 기업에 대해 손 놓고 있어선 안

두나무 DXM, 기업용 수탁 '업비트 세이프' 출시
#업비트
두나무 DXM, 기업용 수탁 '업비트 세이프' 출시
김병철 2019-09-25 18:28

두나무 자회사 DXM이 기업용 암호화폐 수탁 서비스 ‘업비트 세이프(Upbit Safe)’를 지난 24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암호화폐를 직접 관리하는 리스크를 줄이려는 암호화폐 거래소, 기업 등이 타깃 고객이다.DXM은 업비트 세이프는 레저의 기업용 지갑인 '레저 볼트(Ledger Vault)'를 사용하며, 여기에 기업용 다중 계정 체계, 분산 콜드 월릿, 출금 한도, 화이트 리스트 등의 보안 솔루션을 더했다고 설명했다.DXM에 따르면 업비트 세이프에 맡긴 암호화폐를 출금하기 위해서는 권한을 가진 여러 명이 함께 출금신청을

거래소들 알아서 기었나…'익명성=선택사항' 덮어놓고 상장폐지
#빗썸
거래소들 알아서 기었나…'익명성=선택사항' 덮어놓고 상장폐지
김동환 2019-09-24 10:00

'거래 당사자를 알 수 없는 코인은 거래소에서 더이상 거래될 수 없다.'국내 거래소가 잇따라 모네로(XMR), 대시(DASH), 지캐시(ZEC) 등 이른바 '프라이버시 코인'을 퇴출시키고 있다. 지난 6월 나온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암호화폐 규제 권고안을 준수를 위해 필요하다는 게 이유다. 누구든 타인의 거래 내역을 뒤져볼 수 있게 설계되어 있는 비트코인 등 초기 암호화폐들과 달리, 프라이버시 코인은 개인정보를 어느 정도 보호하는 기능이 포함돼있기 때문이다.업비트는 지난 20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모네로(XMR), 대

업비트, 모네로 등 '다크코인' 상장폐지 추진
#업비트
업비트, 모네로 등 '다크코인' 상장폐지 추진
김병철 2019-09-09 19:04

업비트(두나무 운영)가 모네로, 대시 등 이른바 '다크코인' 상장폐지를 추진한다.업비트는 9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프라이버시 특성을 보유한 암호화폐인 모네로(XMR), 대시(DASH), 지캐시(ZEC), 헤이븐(XHV), 비트튜브(TUBE), 피벡스(PIVX)를 유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잠정적 거래지원 종료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업비트는 "유의 종목 지정 후 1주일 간 업비트는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자세한 검토를 통해 최종 상장 폐지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송금자, 수신자, 송금액수가 모두 블록체인에 공개되는

클레이, 업비트 싱가포르·인도네시아 이달 상장
#업비트
클레이, 업비트 싱가포르·인도네시아 이달 상장
정인선 2019-09-05 15:18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회사 그라운드X가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이 발행하는 암호화폐 '클레이(KLAY)'가 이달 중 업비트 싱가포르와 업비트 인도네시아에 상장된다. 업비트 싱가포르와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모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해외에 설립한 거래소다.업비트 싱가포르와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5일 오전 웹사이트 공지사항을 통해 클레이 상장 소식을 밝혔다. 각 거래소에 따르면 클레이는 업비트 싱가포르 비트코인(BTC) 마켓과 업비트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달러(IDR) 마켓, BT

테라, 싱가포르·몽골 모바일 결제시장 진출한다
#업비트
테라, 싱가포르·몽골 모바일 결제시장 진출한다
김병철 2019-09-04 17:37

신현성 티몬 창업자의 암호화폐 결제서비스 테라가 싱가포르와 몽골에 진출한다. 특히 법적 리스크가 있는 한국과 달리 싱가포르에선 스테이블코인 테라로 직접 이커머스에서 결제를 시도한다.신현성 테라 공동대표는 4일 두나무가 인천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개최한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한국을 발판 삼아 아시아 국가들은 거의 진출할 생각"이라며 "몽골은 이미 조인트벤처를 설립해서 몇달 뒤에 출시한다. 싱가포르는 담당 직원을 채용했고, 영업하고 등록하면서 진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그는 "우선적으로 싱가포르에 들어가는 이유는 지불 서

업비트 "FATF 권고안 준수 위해 국내외 거래소 협력 강화"
#규제
업비트 "FATF 권고안 준수 위해 국내외 거래소 협력 강화"
정인선 2019-09-04 16:49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지난 6월 발표한 암호화폐 규제에 대한 권고안과 관련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이석우 대표가 국내외 거래소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가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4일 인천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19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최근 암호화폐 거래소 사이의 가장 큰 이슈는 FATF 권고안을 어떻게 준수할까다. 지난해부터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 공유를 비롯, 거래소들이 어떻게 자정을 위해 노력할지 논의가 있어왔다. FATF 권고안 발표 이후, 이

"블록체인, 못생기고 눈에 거슬리는 기술이지만 개선 신호 분명"
#업비트
"블록체인, 못생기고 눈에 거슬리는 기술이지만 개선 신호 분명"
정인선 2019-09-04 15:04

송치형 두나무 의장이 국내 블록체인 시장이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서비스 시대를 만들어 갈 준비를 갖춰 가고 있다고 말했다. 송 의장은 4일 인천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19 기조 연설에서 이같은 자신감을 피력했다.송 의장은 '블록체인, 서비스 시대를 열다'는 주제의 연설에서, 블록체인 업계에는 여전히 큰 불확실성이 있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도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혼돈(chaos)과 달리 불확실성(uncertainty)은 그 변화의 방향성을 예측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석우 두나무 대표, 문 대통령 핀란드 방문 동행
#업비트
이석우 두나무 대표, 문 대통령 핀란드 방문 동행
정인선 2019-06-10 19:00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이석우 대표가 9일 출발한 문재인 대통령의 핀란드 국빈 방문에 동행한다.문 대통령의 핀란드 방문 경제 사절단에는 스타트업 기업인들이 대거 동참했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를 비롯해 김봉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 겸 우아한형제들 대표, 이수진 야놀자 대표, 안성우 직방 대표, 박재욱 VCNC 대표, 임정욱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 등 총 118곳이 사절단에 포함됐다.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이 대표가 유일하다.기업 규모별로는 스타트업 53개사, 벤처캐피털 및 액셀러레이팅 기업 25개사, 대·중소기업

“북한 추정 해커 업비트 해킹 시도 발견”
#업비트
“북한 추정 해커 업비트 해킹 시도 발견”
박근모 2019-05-29 18:00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와 회원을 겨냥한 북한 추정 해커집단의 사이버공격이 포착됐다. 회원 정보가 유출되진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같은 유형의 공격은 또 나올 가능성이 있어보인다.보안업체 이스트시큐리티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해커는 28일 오전 9시21분 이메일을 보내 사이버 공격을 시도했다. 메일 제목은 '업비트 보디엑스(VDX) 상장 이벤트 경품 수령을 위한 제세공과금 납부 처리 정보 안내'였다. 이스트시큐리티는 해당 메일이 업비트가 발송한 게 아니라 외국에 있는 서버에서 발송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메일에는 '이벤트 당첨자


  • 처음처음
  • 이전이전
  • 1
  • 2
  • 3
  • 4
  • 5
  • 6
  • 다음다음
  • 끝끝
Follow us
코인데스크코리아 뉴스레터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채용
  • 한국
    • US
    • CHINA
    • JAPAN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