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뉴스
  • 행사
  • 범죄신고센터
  • 크립토퀀트
  • 뉴스
Bitcoin $47,101.81 ₩54,850,578 K-Premium 4.13%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캐나다가 비트코인 ETF에 그린라이트를 준 이유
#칼럼
캐나다가 비트코인 ETF에 그린라이트를 준 이유
한서희 2021-03-04 00:17

최근 캐나다 규제당국이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상품 출시를 연이어 승인했다. 북미에선 처음 있는 일이다. 가장 먼저 캐나다 자산운용사 퍼포즈 인베스트먼트가 지난 2월18일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비트코인 ETF인 BTCC를 공모 형태로 상장했다. 같은 날 이볼브(Evolve) 또한 비트코인 ETF EBIT를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캐나다에서 북미 첫 비트코인 ETF가 출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암호화폐 업계가 들썩였다. 무엇보다 비트코인에 관심은 있어도 직접 투자하긴 머뭇거리던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에 간접 투자할 길이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지명자 "암호화폐 규제는 필요"
#게리 겐슬러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지명자 "암호화폐 규제는 필요"
김동환 기자 2021-03-03 17:06

게리 겐슬러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가 블록체인이 변화의 촉매재라고 믿는다고 밝혔다.코인데스크US 보도에 따르면 겐슬러 지명자는 2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가 결제와 금융포용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지만, 동시에 여러가지 투자자 보호 문제도 발생시켰다"며 "이에 맞는 규제를 기관이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겐슬러는 미국의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 출신으로, 금융뿐 아니라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디엠(리브라) 등 스테이블 코인 규제 강화한다
#디엠
디엠(리브라) 등 스테이블 코인 규제 강화한다
한광덕 한겨레 기자 2021-03-02 15:42

디엠(옛 리브라) 등 스테이블 코인이 국가간 지급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에 대비해 국제결제은행(BIS) 등 국제기구가 감독체계 강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2일 한국은행이 소개한 ‘국가간 지급서비스 개선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보면, 국제결제은행 등은 스테이블 코인 상용화가 각국 통화·금융시스템 안정과 개인정보보호 등에 미칠 영향에 사전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규제방안 조율에 나섰다. 최근 주요 7개국(G7)을 중심으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법적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스테이블 코인은 법화 등 안정적인 자산에 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SEC에 반에크 비트코인 ETF 상장 신청
#ETF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SEC에 반에크 비트코인 ETF 상장 신청
Nikhilesh De 2021-03-02 10:15

시카고옵션거래소(CBOE)가 자산운용사 반에크의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하겠다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승인을 신청했다.CBOE는 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19b-4 양식 문서를 SEC에 제출했다. CBOE는 이를 통해 반에크의 비트코인 신탁 상품을 자사 플랫폼에 상장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SEC는 이제 45일 이내에 승인 신청을 받아들일지 혹은 거절할지, 검토 기간을 연장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SEC는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법률 검토 기간을 최대 240일까지 늘릴 수 있다. SE

미국이 요즘 암호화폐를 테러와 엮는 이유는?
#규제
미국이 요즘 암호화폐를 테러와 엮는 이유는?
Nikhilesh De 2021-03-02 09:29

미국 정부는 지난 1월 6일 있었던 의회 점거 폭동과 연관지어 최근 2달 동안 암호화폐를 논의해 왔다. 이것이 규제 당국이 암호화폐를 테러 행위에 연결 짓는 시초가 될 뻔도 했다. 지속적인 억제핵심 내러티브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Financial Services Committee) 산하의 국가 안보, 국제 개발 및 통화정책 소위원회(Subcommittee on National Security,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Monetary Policy)는 25일(현지시각)에 “폭동 이후 테러 행위 자금 조달”이

FATF, 암호화폐 트래블룰 수정안 6월 발표
#트래블룰
FATF, 암호화폐 트래블룰 수정안 6월 발표
박근모 기자 2021-02-26 11:04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회원국과 가상자산사업자(VASP)의 의견을 수렴해 자금이동규칙(트래블룰) 최종 권고안 초안을 내달 중 발표한다. 트래블룰 최종 권고안은 회원국 승인을 거쳐 오는 6월 공개된다.FATF는 지난 22일, 24일, 25일 3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올해 두 번째 총회를 열었다고 25일(현지시각) 결과보고서를 통해 밝혔다.FATF는 자금세탁방지(AML)와 테러자금조달방지(CFT)를 위해 1989년 설립된 국제기구로, 현재 미국, 영국 등 37개 국가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9년 10월 정회원

나이지리아의 '암호화폐 금지법'이 패착인 이유
#칼럼
나이지리아의 '암호화폐 금지법'이 패착인 이유
Hannah Akuiyibo 2021-02-24 19:45

하나 아큐이이보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우드로 윌슨 센터의 연구원이다.나이지리아는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나이지리아 중앙은행(CBN)이 최근 암호화폐를 금지한 것은 이런 계획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정부에 대한 민중의 불신을 악화시킬 것이다.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블록체인의 엄청난 가능성에 눈을 뜨는 판에 나이지리아는 정부기관들이 늑장 부리고 블록체인이란 부정할 수 없는 찬란한 혁신에 눈을 감아버리는 바람에 뒤처지고 있다.” 나이지리아 정보통신기술진흥원(NITDA)이 발간한

"인도, IPO하려면 암호화폐 처분해야"
#인도
"인도, IPO하려면 암호화폐 처분해야"
Sebastian Sinclair 2021-02-23 21:32

인도 금융당국은 국내 비상장기업들이 기업공개(IPO) 전에 보유 중인 암호화폐를 전부 처분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인도 경제신문인 이코노믹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는 지난 몇 주 동안 이런 메세지를 여러 은행과 변호사, 기업 등에 전달해왔다.그러나 인도 정부는 아직 공식적인 발표를 하지는 않았다. 이런 규제 기조는 중앙은행이 발행하지 않은 암호화폐를 모두 금지하려는 인도 정부의 목표와 연관되어 있다고 여러 소식통이 이코노믹타임스에 말했다.인도 의회는 현재 '민간 암호화폐'를 금지하는 법안을 논의

옐런 미 재무장관 "비트코인, 매우 투기적이며 비효율적"
#재닛 옐런
옐런 미 재무장관 "비트코인, 매우 투기적이며 비효율적"
박근모 기자 2021-02-23 11:12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비트코인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22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가 주최한 '2021 딜북 DC 정책 프로젝트(2021 DealBook DC Policy Project)'에 참여해 "비트코인은 매우 투기적인 수단이며, 비효율적"이라며, 비트코인 투자에 대해 경고했다.옐런 재무장관은 "비트코인 거래 메커니즘은 널리 쓰이지 않을 것"이라며 "비트코인은 거래를 처리하는데, 매우 비효율적이며, 거래 과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낭비가 엄청나다"고 말했다.CNBC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

도지코인 현상과 암호화폐 규제의 미래
#도지코인
도지코인 현상과 암호화폐 규제의 미래
Noelle Acheson 2021-02-17 18:17

도지코인(DOGE, Dogecoin)은 시가총액이 (기사 송고 시점) 67억3000만달러(비트코인의 100분의 1도 되지 않는 수준) 정도밖에 되지 않는, ‘투자 등급’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자산이다. 실사용 사례도 없고, 활발한 파생상품 시장도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이 칼럼에서 도지코인을 다루는 것이 다소 의아하게 여겨질 수 있다.하지만 내가 도지코인 현상을 이야기하려는 이유는, 암호화폐에 대한 기관투자자들의 관심을 결정짓는 두 가지 주제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하나는 ‘펀더멘탈’의 역할에 관한 것이며, 나머지 하나는 정부가

러시아 하원, 암호화폐 과세 법안 처리 예정
#러시아
러시아 하원, 암호화폐 과세 법안 처리 예정
Jamie Crawley 2021-02-17 16:40

러시아 하원 두마(Duma)가 17일 암호화폐 과세 법안을 처리할 예정이다.러시아 연방정부가 지난달 발의한 이 법안의 내용은 암호화폐를 과세 체계 안으로 편입시키기 위해 세법을 개정하는 것이다. 통과될 경우, 디지털자산은 재산으로 분류된다.법안은 러시아 국민이 수취하거나 공제를 받는 암호자산의 규모가 연간 60만루블(약 8천달러)에 상응하는 금액을 초과할 경우, 이를 신고할 것을 요구한다.러시아 정부는 암호화폐가 탈세, 자금세탁 등 불법 행위에 악용되고 있다는 우려가 있어 법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아울러 정부는 러시아 과세 당국이

GDF "홍콩 암호화폐 규제, 개인투자자 암시장으로 몰아낼 것"
#홍콩
GDF "홍콩 암호화폐 규제, 개인투자자 암시장으로 몰아낼 것"
Tanzeel Akhtar 2021-02-16 14:15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연합체인 글로벌디지털파이낸스(Global Digital Finance, GDF)가 홍콩 금융당국에서 제기된 가산자산 규제안이 통과되면 개인투자자들은 그저 규제망 밖에 있는 다른 거래소와 플랫폼으로 몰릴 것이라는 견해를 내놨다. GDF의 자문위원장인 말콤 라이트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거래를 기관투자자만 할 수 있게 제한해버리는 것은 미국과 싱가포르, 영국 등 다른 금융 선진국들이 취하고 있는 규제 흐름에 역행하는 행위"라고 말했다.홍콩 재무국(Financia

캐나다 금융당국, 비트코인 ETF 첫 승인
#ETF
캐나다 금융당국, 비트코인 ETF 첫 승인
Sebastian Sinclair 2021-02-15 10:45

캐나다 금융 당국이 북미 최초로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승인했다.온타리오증권위원회(OSC)는 캐나다 기반 자산운용사 퍼포즈 인베스트먼트가 신청한 비트코인 ETF 출시를 11일 승인했다. 캐나다 투자 관리 회사 3iQ가 상장한 펀드를 비롯한 복수의 폐쇄형 (close-ended) 비트코인 펀드가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이미 상장돼 있지만, 이는 ETF와는 차이가 있다. ETF의 경우 증권을 지속해서 발행하는 반면, 폐쇄형 펀드는 최초 판매 시와 판매 재개 시에만 증권을 발행한다. 퍼포즈 인베스트먼트가 온라인에 게시한 설명

비트코인은 결제수단인가? 투자자산인가?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결제수단인가? 투자자산인가?
Noelle Acheson 2021-02-14 10:05

올해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내리는 롤러코스터 장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한쪽에서는 비트코인 결제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하는 기업의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상적인 목표를 가지고 뛰어든 작은 스타트업 얘기가 아니다.최근 비자(Visa) 1분기 실적발표에서 알 켈리(Al Kelly) 최고경영자는 비자가 앞으로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아직은 “의미 있는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면서도 비자 고객이 비자 크레덴셜(Visa credential)을 사용해 암호화폐를

나이지리아 중앙은행, 암호화폐 관련 은행계좌 폐쇄
#규제
나이지리아 중앙은행, 암호화폐 관련 은행계좌 폐쇄
박근모 기자 2021-02-08 10:23

나이지리아 중앙은행(CBN)의 모든 암호화폐 관련 은행계좌 폐쇄 명령으로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바이낸스 등 암호화폐 거래소는 나이지리아 사용자를 대상으로 법정화폐 입금을 중단했다.지난 5일(현지시각)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은 벨로 하산(Bello Hassan) 은행감독 책임자 명의로 나이지리아 시중 은행에 전달된 서신을 통해 "나이지리아 내에서 암호화폐 결제나 교환에 대한 모든 행위는 허용하지 않고 있다"며 "모든 은행은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하는 개인이나 법인의 은행 계좌를 즉시 폐쇄해야 한다"고 밝혔다.서신은 은행계좌 폐쇄 명령을

비트와이즈, 미 당국에 비트코인 펀드 승인 요청
#비트와이즈
비트와이즈, 미 당국에 비트코인 펀드 승인 요청
Sebastian Sinclair 2021-02-03 10:12

암호화폐 지수 펀드를 운용하는 자산관리회사 비트와이즈(Bitwise Asset Management)가 장외거래(OTC) 시장에서 자사의 비트코인 펀드 증권을 출시하기 위해 규제 당국의 승인을 요청했다.비트와이즈는 미국 금융산업감독국(FINRA)에 비트와이즈 비트코인 펀드(Bitwise Bitcoin Fund)를 위한 211 양식 문서를 제출했다고 2일 밝혔다.그레이스케일 자산운용, 갤럭시디지털 등이 제공하는 비트코인 투자상품과 경쟁하기 위해 비트와이즈는 뉴욕 기반 장외거래소 OTCQX에서 자사의 비트코인 펀드 증권을 거래할 수 있게

미 통화감독청(OCC), 은행 서비스 거부 제한한 '공정 접근' 규칙 보류
#통화감독청
미 통화감독청(OCC), 은행 서비스 거부 제한한 '공정 접근' 규칙 보류
박근모 기자 2021-01-29 09:59

미국 통화감독청(OCC)은 지난 14일 공개한 금융 기관이 제공하는 은행 서비스는 누구나 공정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공정 접근'(Fair Access) 규칙을 보류한다고 28일(현지시각) 밝혔다.코인베이스 출신 브라이언 브룩스 OCC 청장 대행이 주도한 공정 접근 규칙은 자산 1000억달러(약 111조5000억원) 이상의 대형 금융 기관은 은행 서비스 제공을 거부할 경우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위험 평가 수반돼야 함을 골자로 한다.브룩스 청장의 공정 접근 규칙은 그동안 암호화폐를 취급한다는 이유로 계좌 발급 등 금융 서비스

이주환 의원, 거래소의 시세조정·내부자거래 금지법 발의
#특금법
이주환 의원, 거래소의 시세조정·내부자거래 금지법 발의
박근모 기자 2021-01-27 19:45

암호화폐 거래소의 시세조정, 내부자 거래 등 불공정거래를 금지하고, 투자자 피해가 발생하면 손해배상 책임을 부과하는 법이 발의됐다.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산자위)은 가상자산 사업자(VASP)에게 불공정거래행위 등 위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의무를 골자로 하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7일 밝혔다.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2020년 11월 입법예고한 특금법 시행령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는 '가상자산의 매도·매수, 교환, 이전, 보관·관리, 중개·알

골드만삭스 전 대표 "비트코인 범죄 늘면, 정부 통제 본격화"
#골드만삭스
골드만삭스 전 대표 "비트코인 범죄 늘면, 정부 통제 본격화"
박근모 기자 2021-01-27 09:58

로이드 블랭크페인 골드만삭스 전 대표는 25일(현지시각) 미국 경제방송 CNBC와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범죄가 늘어나면, 정부의 통제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로이드 블랭크페인은 비트코인이 최근 월가를 비롯해 주류 금융기관의 관심을 받는 등 가치 저장의 수단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하지만 지갑 주소가 적힌 종이를 분실하면 영원히 암호화폐를 찾을 수 없는 가치 저장소의 한계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무엇보다 비트코인이 교환의 매개체로 사용되고 있는 점에 가장 큰 문제라고 강조했다.그는 비트코인이

암호화폐 수탁사 앵커리지, 미국 최초 '디지털 자산 은행'이 됐다
#은행
암호화폐 수탁사 앵커리지, 미국 최초 '디지털 자산 은행'이 됐다
Nikhilesh De 2021-01-18 18:41

미국 은행감독기구인 통화감독청(OCC)이 암호화폐 수탁업체 앵커리지(Anchorage)의 연방 신탁업 인가를 조건부 승인했다. 이에 앵커리지는 미국 최초의 ‘디지털 자산 은행’이 됐다.그 동안 미국에서는 온갖 규제 장벽으로 대형 금융기관이 디지털 자산을 보관, 운용, 거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런 장벽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통화감독청은 미 재무부 산하 기관으로, 은행의 안전성 뿐만 아니라 경쟁성도 지키는 일을 한다.최근 통화감독청은 세 건의 의견서를 발행해 은행이 암호화폐를 수탁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 처음처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다음
  • 다음
  • 끝끝
Follow us
NEWSLETTER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광고상품 소개
Advertise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