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News
  • Editor’s Pick
  • Events
  • CryptoQuant
  • News
  • Editor’s Pick
Bitcoin $36,368.45 ₩39,922,993 K-Premium 1.18%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두나무, 블록체인 기반 증권·펀드 관리서비스 '온보드' 출시
#두나무
두나무, 블록체인 기반 증권·펀드 관리서비스 '온보드' 출시
김병철 2020-12-22 11:34

복잡하고 번거로웠던 증권 및 펀드 관리가 편리해진다. ‘증권플러스 비상장’과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블록체인 기반의 증권 및 펀드 관리 서비스 ‘온보드’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온보드는 기업의 증권 및 펀드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 이하 SaaS)다. 두나무의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람다256이 개발한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를 이용해 증권 발행 및 변동 내역, 주주명부,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내역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두나무는 온보드가 증권 및 펀드

“암호화폐 거래소 폐업 ‘먹튀' 조심해야”
#UDC2020
“암호화폐 거래소 폐업 ‘먹튀' 조심해야”
정인선 기자 2020-12-09 10:37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이 시행되면서 폐업하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나올 수 있다.”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지난달 30일 온라인으로 연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20'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용하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내년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곳인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당부했다.내년 9월부터는 특금법에 따라 요건을 갖춰 금융위원회에 신고한 암호화폐 거래소만 영업할 수 있다. 특히 ①은행이 발급하는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②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부여하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등 주요 요건을

이석우 두나무 대표 "올해 키워드는 제도화, CBDC, 디파이"
#이석우
이석우 두나무 대표 "올해 키워드는 제도화, CBDC, 디파이"
김병철 2020-11-30 18:17

이석우 두나무(업비트 운영) 대표는 2020년 블록체인 산업의 키워드로 제도화,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디파이(DeFi, Decentralized Finance)를 꼽았다. 이 대표는 30일 시작된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0’에서 2021년에는 CBDC와 디파이를 중심으로 국제 금융의 질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이렇게 말했다.우선 그는 올해 암호화폐 산업의 제도적 기반이 생겼다고 평가했다. 지난 3월 국회는 암호화폐(가상자산)를 규정하는 내용의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을 개정했고, 이에 따라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0, 30일 개막
#업비트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0, 30일 개막
김병철 2020-11-30 10:52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20(UDC 2020)이 30일 막을 올린다.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UDC 2020 영상을 11월30일~12월4일 5일간, 매일 오전 11시30분에 온라인으로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UDC 2020 주제는 ‘return blockchain * future; (블록체인, 미래의 답을 찾다)’다. 제시된 함수의 결과값을 구해 돌려준다는 의미의 명령어 ‘return’을 적용해, 미래의 블록체인과 블록체인이 만들어 갈 미래를 함께 찾아본다는 뜻을 담았다고 두나무는 설명했다.작년과 달리 온라

업비트, 24시간 출금 지연제 도입
#보이스피싱
업비트, 24시간 출금 지연제 도입
김병철 2020-11-27 15:47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24시간 '디지털자산(암호화폐) 출금 지연제'를 28일 오후 3시부터 도입한다고 27일 밝혔다.업비트 이용자는 출금 신청한 시각을 기준으로, 입금한지 24시간이 지난 원화 총액만큼의 디지털 자산만 출금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업비트 계좌에 잔고가 0원이던 회원이 100만원을 입금하고, 24시간이 지나기 전에 100만원 상당의 디지털자산 출금을 신청하더라도 출금이 되지 않는다.두나무는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고, 금융사기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라며 "원화를 입금해 원화로 출금하거나

업비트 인도네시아,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만든다
#업비트
업비트 인도네시아,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만든다
정인선 기자 2020-10-16 19:03

업비트 인도네시아가 디지털자산(암호화폐) 선물 거래소를 설립한다.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16일 업비트 인도네시아(대표 얀 크리스탄토)가 디지털자산 선물 거래소 ‘DFX(Digital Future Exchange)’ 설립을 위해 현지 기업들과 합작 법인을 세웠다고 밝혔다.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두나무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관계사인 업비트 APAC의 자회사다.두나무에 따르면 DFX 합작법인은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규제국의 규제 아래 디지털자산과 디지털자산 파생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선물 거래 시스템을 구축해, 회원사들에 제공하게 된다

업비트,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 시작
#업비트
업비트,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 시작
김동환 기자 2020-09-29 18:36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암호화폐 예치 서비스인 '업비트 스테이킹(staking)'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업비트 스테이킹은 사용자가 업비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예치하면 자산 종류와 예치 기간에 따라 이자 개념의 보상을 수령할 수 있는 서비스다. 예치된 자산은 고객 명의의 별도 스테이킹 지갑에 보관되며, 두나무 자회사인 DXM이 관리한다.'업비트 스테이킹' 베타 서비스는 업비트 PC 웹사이트를 통해서만 이용 가능하다. 업비트 홈페이지 상단의 '스테이킹' 메뉴를 통해 서비스 가입 후, 원하는 암호화폐와 수량을

"1년 남은 트래블룰 시행…데이터 표준 필요하다"
#DAXPO2020
"1년 남은 트래블룰 시행…데이터 표준 필요하다"
김동환 기자 2020-09-09 09:00

내년 하반기부터 암호화폐 업계에서 본격 시행될 자금이동규칙(트래블룰)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는 가상자산 사업자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에 대한 표준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코인데스크코리아와 한국블록체인협회가 공동주최한 디지털자산박람회(DAXPO)2020 '한국 가상자산 사업자(VASP)의 트래블룰 대응' 주제 토론에 참가한 황순호 두나무 대외협력팀장, 강윤철 쿨빗X 한국대표, 김영석 보난자팩토리 대표 등은 '기한 내 규정 준수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야 할일이 많다'며 이같은 문제인식을 공유했다. 이 토론 영상은 9일 공개됐다.

두나무 증권플러스 비상장, 혁신금융서비스 선정
#두나무
두나무 증권플러스 비상장, 혁신금융서비스 선정
정인선 기자 2020-04-01 17:00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비상장주식 안전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이 혁신금융서비스에 선정됐다. 금융위원회는 1일 정례회의를 열어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포함한 9건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4월 금융규제 샌드박스 시행 이후 혁신금융서비스 지정건수는 총 102건이 됐다.증권플러스 비상장은 온라인으로 비상장주식을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원스톱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비상장주식의 매매 주문이 접수돼 매칭이 이뤄지면, 매칭 결과를 매매 주문 접수 및 전달 관련

마켓컬리, 차이, 코드박스
#짧은뉴스
마켓컬리, 차이, 코드박스
김동환 기자 2020-03-11 18:00

짧은뉴스 ‘오늘’을 통해 국내외 업계 이모저모를 전달해드립니다. 보도자료는 코인데스크코리아 모든 기자들이 받아볼 수 있는 contact@coindeskkorea.com 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는 ‘신뢰 그 이상의 가치’를 지향합니다.‘새벽배송’ 마켓컬리, 간편결제 서비스 차이 도입장보기 어플리케이션 마켓컬리가 블록체인 기업 테라와 제휴를 맺은 간편결제 서비스 차이를 도입했다. 차이와 마켓컬리는 이를 기념해 오는 31일까지 특별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마켓컬리에서 차이로 5만원 이상 결제할 경우 5천원

아하, 두나무, 코로나 기부
#짧은뉴스
아하, 두나무, 코로나 기부
김동환 기자 2020-03-10 16:40

짧은뉴스 ‘오늘’을 통해 국내외 업계 이모저모를 전달해드립니다. 보도자료는 코인데스크코리아 모든 기자들이 받아볼 수 있는 contact@coindeskkorea.com 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는 ‘신뢰 그 이상의 가치’를 지향합니다.두나무, 코로나19 성금 5억 원 기부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 기업 두나무는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구호 활동 성금 5억 원을 후원했다고 10일 밝혔다.두나무의 구호 활동 성금은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코

업비트 송치형 의장은 암호화폐가 없다
#두나무
업비트 송치형 의장은 암호화폐가 없다
김외현 기자 2020-02-13 10:00

1월31일 법원이 사기 및 사전자기록 위조 등 혐의로 기소된 송치형 두나무 의장 등에게 1심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선고 하루 전 코인데스크코리아는 두나무로부터 보도 정정 요청을 받았다. 1월21일치 기사에서 송 의장의 암호화폐 보유 관련 서술이 잘못이라는 내용이었다. 문제가 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미국 포브스는 2018년 2월 세계 최초로 ‘암호화폐 부자들’ 19명을 선정했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송치형 의장은 여기에 이름을 올린 유일한 한국인이다. 포브스는 당시 그의 보유자산이 최소 3억5000만달러에서 최대 5억달러에 이르

[업비트무죄④] 재판부 "검찰은 미흡했다"
#업비트
[업비트무죄④] 재판부 "검찰은 미흡했다"
김외현 기자 2020-01-31 17:47

31일 오전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진행된 업비트 선고심에서 오상용 부장판사(형사12부)가 판결문을 읽는 동안, 송치형 두나무 의장 등 3명은 피고인석에 앉아 줄곧 눈을 질끈 감고 있었다. 재판부는 이들에 대한 검찰 수사가 일부 무리한 면이 있었다고 판단했다.재판부는 문제가 된 업비트 계정 ‘8’과 관련해 검찰의 피의자 조서에 ‘허위 충전’이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이, 사실과 무관하게 검찰의 압박 끝에 나온 것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재판부는 “(피의자 조서에 나온) 진술 만으로는 아이디 ‘8’에 허위로 가상화폐(암호화폐) 및 원화를 충전

[업비트무죄③] 가격조작? 비트코인 매수봇, 실제론 작동 안했다
#업비트
[업비트무죄③] 가격조작? 비트코인 매수봇, 실제론 작동 안했다
김동환 기자 2020-01-31 17:23

지난 2018년 12월 검찰은 송치형 두나무 의장 등 업비트 관련 임직원 3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수사결과에는 2017년 3분기와 4분기 사이, 업비트가 타거래소에 비해 높은 비트코인 시세를 유지되도록 자동 매수 주문을 넣는 봇(bot) 프로그램을 운용했다는 내용도 담겼다.당시 한국의 비트코인 가격은 글로벌 평균 시세에 비해 웃돈이 붙은 것으로 유명했다. 때문에 검찰의 수사결과가 발표되자 일각에서는 이런 '김치 프리미엄'을 업비트가 조장한 것은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그러나 이런 내용은 전혀 사실무근이었다는 것이 법원 판결로 밝혀졌

[업비트무죄②] 송치형의 '양심'이 업비트를 구했다
#업비트
[업비트무죄②] 송치형의 '양심'이 업비트를 구했다
김외현 기자 2020-01-31 16:14

서울 남부지방법원 형사12부(오상용 부장판사)는 31일 사기 및 사전자기록 위조 등 혐의로 기소된 송치형 두나무 의장 등 3명에 무죄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잔고 범위 안에서 유동성 공급을 진행한 것'이라는 업비트의 주장을 온전히 받아들인 것으로 평가된다.업비트가 자체적으로 만들어 운영했던 ‘8’ 계정에 충전된 금액이 실제 업비트가 보유한 암호화폐 및 법정화폐 잔고를 초과한 허위 충전이었는지는 이번 재판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였다. 업비트는 문제가 된 ‘8’ 계정에 전산상 암호화폐 및 원화 포인트를 입력하면서도 실제로 해당 금

[업비트무죄①] "암호화폐거래소는 증권거래소가 아니다" 
#업비트
[업비트무죄①] "암호화폐거래소는 증권거래소가 아니다" 
김동환 기자 2020-01-31 14:53

서울 남부지방법원 형사12부(오상용 부장판사)는 31일 사기 및 사전자기록 위조 등 혐의로 기소된 송치형 두나무 의장 등 3명에 무죄 판결을 내렸다.판결의 핵심쟁점 중 하나는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가 가짜 회원 계정을 만들어 직접 자신의 플랫폼에 유동성을 공급한 사실을 어떻게 판단하느냐 하는 문제였다.현재 국내 증권거래소와 증권시장에는 자본시장법을 통해 통정매매, 가장매매, 허위주문 등 마켓메이킹 활동 전반에 대한 까다로운 규제가 적용된다. 증권시장에서 특정인이 업비트처럼 시세조종행위를 할 경우 기본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억

지갑 서비스 '비트베리' 운영 종료
#비트베리
지갑 서비스 '비트베리' 운영 종료
정인선 기자 2020-01-29 16:55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자회사인 루트원소프트가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비트베리 운영을 종료한다.루트원소프트는 29일 비트베리 앱 내부 공지사항을 통해 비트베리 서비스 운영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루트원소프트는 블록체인 산업 시장 악화와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사업 종료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루트원소프트는 우선 이용자간 안전거래 서비스 지원을 오는 31일부터 중단한다. 이용자들은 이어 다음달(2월) 29일까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RC-20, KCT, 루나, 리플 등 비트베리에 보관된 모든 암호화폐를 출금해야 한다. 다만

업비트, 비트렉스와 오더북 공유 중단
#업비트
업비트, 비트렉스와 오더북 공유 중단
정인선 2019-10-25 16:59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제휴사 비트렉스와의 오더북 공유를 중단했다.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지난 9월 25일과 10월 18일 거래소 공지사항을 통해, 25일 오전 11시부터 이더리움(ETH)마켓 거래 지원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두나무는 또한 앞으로 업비트의 BTC 마켓과 USDT 마켓 호가창에 업비트 회원이 접수한 주문만 노출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비트렉스와의 오더북 공유를 중단하고, 업비트가 자체적으로 BTC 마켓과 USDT 마켓을 운영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다른 주요 거래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2017년 10월 문을 연

김진태 "업비트, 법 악용해 루나·클레이 상장"
#업비트
김진태 "업비트, 법 악용해 루나·클레이 상장"
정인선 2019-10-08 16:00

두나무 자회사 두나무앤파트너스가 투자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테라의 암호화폐 루나(LUNA)가 업비트에 상장된 것과 관련해,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이 “입법 공백을 이용한 셀프 상장”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8일 금융감독원 국정감사를 앞두고 발표한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두나무앤파트너스는 지난해 3월 설립된 투자전문회사로, 두나무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두나무와 두나무앤파트너스는 지난 5월 자료를 내어, 1년여 간 26개 기업에 약 550억 원의 투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신현성 티몬 의장이 공

김진태 의원 "업비트의 허위·자전거래, 시장질서 교란"
#거래소
김진태 의원 "업비트의 허위·자전거래, 시장질서 교란"
정인선 2019-10-04 17:39

사기 및 사전자기록위작 등 혐의로 검찰에 기소된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대해,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이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소비자를 기만해 피해를 양산했다"고 비판했다.김 의원은 4일 금융위원회 국정감사 질의를 앞두고 발표한 자료를 통해 "업비트의 범죄사실은 가뜩이나 하락세인 암호화폐 시장의 질서를 교란시키고, 소비자를 기만해 피해를 양산하는 악질적 행위"라며 "금융위원장은 특금법(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에 관 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런 악질 기업에 대해 손 놓고 있어선 안


  • 처음처음
  • 1
  • 2
  • 3
  • 다음다음
  • 끝끝
Follow us
코인데스크코리아 뉴스레터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채용
  • 한국
    • US
    • CHINA
    • JAPAN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