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News
  • Editor’s Pick
  • Events
  • CryptoQuant
  • News
  • Editor’s Pick
Bitcoin $31,295.43 ₩34,919,361 K-Premium 0.28%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기존 PoS 생각하고 이더리움2.0 뛰어들면 오산"
#이드콘
"기존 PoS 생각하고 이더리움2.0 뛰어들면 오산"
정인선 기자 2020-12-19 12:24

이더리움1.0에서 2.0으로의 전환이 시작됐다. 핵심은 지분증명에서 작업증명으로의 전환이다. 이더스캔에 따르면 18일 오전 10시 기준 이더리움2.0 예치금은 9억8400만달러 가량이다.국내에도 이더리움2.0 검증인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팀이 있다. 아니, 국내에 한 곳밖에 없다. 지난달 중순부터 진행된 이드콘2020 해커톤 집체 교육에서 이더리움2.0과 관련해 교육을 맡은 스테이크피시다.15일 코인데스크코리아와 만난 김준수 스테이크피시 한국 담당은 "이더리움2.0에선 누구나 네트워크에 기여할 수 있지만, 스테이킹(예치) 사업에 뛰

12/16 오후브리핑: 이드콘, 폰허브, 암호화폐 가격지수
#오후브리핑
12/16 오후브리핑: 이드콘, 폰허브, 암호화폐 가격지수
김동환 기자 2020-12-16 20:10

디자이너여, 중앙화의 유혹에 들지 말지어다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탈중앙성과 이용자 친화적 디자인은 양립가능할까? 최근 이더리움 '존버(HODL, 장기 투자)' 촉진 서비스 네버루즈머니 프로토콜을 출시한 헌트(HUNT)의 조영휘 디자이너는 "현재로선 절대 불가"라고 말한다. 그는 특히 서비스의 핵심 가치가 블록체인의 탈중앙성과 불가분의 관계라면, 디자이너가 절대 중앙화의 유혹에 빠져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의견수렴 끝낸 특금법 시행령…어떤 내용 담길까코인데스크코리아는 16일 한국블록체인협회 등 업계 관계자들이 FIU에 요청한 시행령 개

디자이너여, 중앙화의 유혹에 들지 말지어다
#이드콘2020
디자이너여, 중앙화의 유혹에 들지 말지어다
정인선 기자 2020-12-16 18:33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탈중앙성과 이용자 친화적 디자인은 양립가능할까?최근 이더리움 '존버(HODL, 장기 투자)' 촉진 서비스 네버루즈머니 프로토콜을 출시한 헌트(HUNT)의 조영휘 디자이너는 "현재로선 절대 불가"라고 말한다. 그는 특히 서비스의 핵심 가치가 블록체인의 탈중앙성과 불가분의 관계라면, 디자이너가 절대 중앙화의 유혹에 빠져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탈중앙화 요소와 중앙화 요소를 필요에 따라 섞는 '하이브리드'도 안 될 일이란다. 오는 20일 이드콘2020에서 '댑(Dapp)이 몰고올 디자이너 댑항해시대'를 주제로 발표

내 NFT 적정가격? NFT뱅크가 뽑아준다
#이드콘2020
내 NFT 적정가격? NFT뱅크가 뽑아준다
정인선 기자 2020-12-14 18:39

부동산처럼 거래가 자주 일어나지 않는 자산의 가치를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동네 공인중개사 사무소 창문에 붙은 비슷한 조건의 다른 매물 가격을 살피면 된다. 최근엔 '네이버부동산', '호갱노노' 등 서비스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대체불가능토큰(NFT)에도 가격을 분석해주는 서비스가 있다. 그라운드X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출신 김민수씨가 개발한 NFT뱅크다. 그는 NFT에도 비슷한 매물과의 비교를 통해 적정 판매가를 알려주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보고 NFT뱅크를 만들었다. 모두가 대체로 동의할 수 있는 가격이 매겨지

이드콘 준비위: 한국 이더리움 커뮤니티를 만드는 사람들
#이드콘2020
이드콘 준비위: 한국 이더리움 커뮤니티를 만드는 사람들
정인선 기자 2020-12-05 13:07

지난 2년여간 블록체인을 취재하며 수많은 블록체인 행사에 다녔다. 매년 비슷한 시기에 열리는 비슷한 행사들 가운데 올해 유독 기다려진 행사가 있다. 지난해 처음 열린 한국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비영리 콘퍼런스 이드콘이다.블록체인에 대한 흥미가 조금 떨어져 가고 있던 때에, 이더리움에 대한 순수한 열정으로 똘똘 뭉친 준비위원 및 연사들을 이드콘을 통해 만났다. 덕분에 새로운 자극을 듬뿍 받았고, 아직 '탈블'하지 않았다. 올해도 이드콘이 특별히 기다려진 이유다.그런데 5월이 돼도 소식이 없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뉴욕에서 매년 열리는

11/20 오후브리핑: 디파이 해킹, 비트메인, 이드콘 해커톤 등
#오후브리핑
11/20 오후브리핑: 디파이 해킹, 비트메인, 이드콘 해커톤 등
정인선 기자 2020-11-20 18:24

골드만삭스 "디지털 위안, 핀테크 기업 우위 약화시켜"골드만삭스가 중국 디지털 위안(DCEP)이 중국 내 전체 소비자 결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년 안에 15%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상업은행들이 디지털 위안으로 핀테크 기업들로부터 더 많은 시장을 뺏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드콘 한국 2020, 온라인 해커톤 개최한다이드콘 한국 2020 해커톤이 11월28일부터 12월20일까지 약 3주간 열린다. 이드콘 한국 2020 준비위원회는 오는 25일까지 해커톤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오케이이엑스, 27일부터 출금 재개중국계

이드콘 한국 2020, 온라인 해커톤 개최한다
#이드콘2020
이드콘 한국 2020, 온라인 해커톤 개최한다
정인선 기자 2020-11-20 18:04

이드콘 한국 2020 해커톤이 11월28일부터 12월20일까지 약 3주간 열린다. 이드콘 한국 2020 준비위원회는 오는 25일까지 해커톤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이드콘 한국 2020 해커톤에는 직장인과 대학생, 미성년자 등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참가자들은 11월28~29일 이틀간 암호학과 이더리움의 기초, 영지식증명, 레이어2 솔루션, 이더리움2.0 등에 대한 그룹 교육에 참가하고, 향후 부문별 멘토링을 최대 2회 받는다.온라인으로 참여 신청서를 제출한 팀들은 이더리움 재단의 펀딩 프로그램인 ESP에 제시된 '프로젝트 위시리스트

블록체인만 쳐다봐서는 댑 이용자 수 절대 모른다
#빅데이터
블록체인만 쳐다봐서는 댑 이용자 수 절대 모른다
정인선 2019-05-28 17:00

익명성은 투명성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최대의 미덕으로 꼽힌다. 그러나 반론이 나왔다.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이드콘 한국 2019 무대에 선 김민수 그라운드X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블록체인에서 익명성은 양날의 검"이라고 주장했다. 익명성이 블록체인에 올라오는 데이터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김민수씨는 "지금의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익명의 롤링페이퍼와 같다"면서, "익명성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올라오는 데이터를 의미있게 해석·이해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익명성이 "어지럽힌" 데이터의 대표적 사례는 일

이더리움재단, 한국 이더리움 생태계 확장에 2500만원 지원
#이더리움
이더리움재단, 한국 이더리움 생태계 확장에 2500만원 지원
정인선 2019-05-27 10:00

이더리움 재단(Ethereum Foundation)이 한국 이더리움 개발자 생태계 확장을 위해 이드콘 한국 준비위원회와 온더, 해치랩스, 이드리서치 한국 등에 약 2500만원 상당의 그랜츠를 수여했다. 이더리움 재단은 지난해부터 이더리움 생태계의 자생적 성장을 지원하는 '그랜츠(Grants)'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국내 이더리움 커뮤니티에 대한 그랜츠 수여는 이번이 처음이다.이더리움 재단의 그랜츠 수여식은 2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이더리움 개발자 컨퍼런스 '이드콘 한국 2019'에서 진행됐다. 이드콘 한국 준비

블록체인 개발자들이여, 좋은 정치인이 되시라
#문영훈
블록체인 개발자들이여, 좋은 정치인이 되시라
김외현 2019-05-26 14:00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현대 정치·경제의 ‘주의’(-ism)들은 각각 디지털 시대에 어떤 모습을 갖게 될까. 생산은 무엇이며, 소비는 무엇일까. 민주는 무엇이고, 자유와 평등은 어떤 의미일까. ‘인간의 얼굴을 한 ~주의’를 차용해 이제는 ‘기계의 얼굴을 한 ~주의’가 되는 것일까?논스 CEO 문영훈(29)씨는 디지털 시대 새로운 경제 모델과 정치 모델이 다시금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본질을 되묻게 할 것이라고 본다. 이드콘 발표를 나흘 앞두고 23일 논스에서 그를 만났다.-제목(블록체인과 21세기 디지털 자본

미완성 개발기를 기꺼이 공개합니다. 도전은 아름답기에
#이더리움
미완성 개발기를 기꺼이 공개합니다. 도전은 아름답기에
정인선 2019-05-25 14:00

김효준(21)씨가 개발을 처음 접한 건 10살 때다. 어릴 때부터 컴퓨터 만지는 걸 좋아했다. 할 거면 제대로 해 보라는 부모님 권유에 정보올림피아드 출전을 계기로 코딩을 배우기 시작했다. 중학교 1학년 때 친구들과 의기투합해 앱 개발 스튜디오 '디블러'를 창업했다. 때는 스마트폰이 보급된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앱 개발로도 돈을 벌 수 있었던" 2012년이었다. 디블러가 개발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앱 '먼지가 되어'는 구글플레이 이용자 30만명이, 클라우드 활용 알람 앱 '알람매미'는 4만명이 다운로드 받았다. 서비스 유료화를

유저는 방황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세심하지 않아서
#블록체인게임
유저는 방황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세심하지 않아서
김외현 2019-05-24 14:00

게임 댑을 쓰는 이용자에게 물었다. 솔직히 어때요? 구려요. 아, 네….댑 개발 때 사용자 경험(UX)을 감안해 디자인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늘고있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어떤 기준을 적용하면 좋을지에 대한 논의도 나온다. 21일 만난 3년차 UX디자이너 오지은(26)씨는 “유저는 방황할 수 있습니다”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드콘 발표에서 UX 개선을 위한 일종의 ‘체크리스트’를 제시할 계획이다.-어떤 발표를 할 예정인가?“처음에는 개발환경(IDE)과 게임 기획을 주제로 하려고 했는데 현재 참가중

해괴한 이더리움 주소를 ‘사람의 언어’로 바꾸자
#ENS
해괴한 이더리움 주소를 ‘사람의 언어’로 바꾸자
김외현 2019-05-23 16:00

이더리움 지갑 주소는 길고 알아보기 힘들다. 숫자와 알파벳 대소문자가 뒤섞인 수십개의 글자를 보면, 이걸 외울 수 있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는다. 내 주소를 못 외운다는 건 자존심 상하는 일이다. ENS(Ethereum Name Service)의 문제의식이 출발하는 지점이다. 간단한, 외울 수 있는, 의미있는 주소를 만들자는 것. ENS 홈페이지에선 이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이름’(Human-readable names)이라고 표현한다. ENS의 개발자 소통을 담당하는 브랜틀리 밀리건은 이드콘 첫날인 27일 ENS의 운영 체계를

나의 오목 댑이 실패한 이유를 알려주마
#게임
나의 오목 댑이 실패한 이유를 알려주마
정인선 2019-05-21 13:00

 실패의 기록. 10년차 개발자 윤성준(35)씨가 '쪽팔림'을 무릅쓰고 이드콘 무대에 선다. 그는 네이버·카카오에 몸 담은 적도, 스타트업에서 CTO(최고기술책임자)를 맡은 적도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개발도 처음, 게임 개발도 처음이었다고 했다. 이드콘에서 발표할 ‘이더리움 기반 오목 게임 개발기’가 성공기보다 실패기에 가까운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그는 말한다. 실은, 이드콘 발표를 지원할 당시만 해도 게임 개발을 완전히 접겠다는 결단을 못 내린 상태였다. 발표자로 선정되고 나서야 오목 게임을 함께 개발한 친구와 '포기

UX디자이너 함께했더니 댑이 확 달라졌어요
#Dapp
UX디자이너 함께했더니 댑이 확 달라졌어요
김외현 2019-05-20 15:00

 16일 만난 강하다(28)씨는 본인을 블록체인 프로젝트 매니저 겸 데이터 분석가라고 소개했다. 그가 속한 프로젝트팀 이름은 MBGA, “다시 블록체인을 위대하게 만들자”(Make Blockchain Great Again)의 약자다. 도널드 트럼프의 MAGA가 그랬듯이 ‘위대한 블록체인’이란 표현은 누군가의 가슴을 뛰게 할 것이다. 그의 제안은 단순하면서도 심오했다. ‘댑 제작은 시작 단계에서부터 이용자 경험(UX) 디자이너가 참여해야 한다’는, 너무나 당연한, 그러나 지켜지지 않는, 그래서 현실을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내용이다.-

우리는 제주에서 불온한 블록체인을 꿈꾼다
#지역화폐
우리는 제주에서 불온한 블록체인을 꿈꾼다
김외현 2019-05-18 13:00

제주시 삼도이동은 삼국시대 탐라국 시절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제주 행정의 중심지였다. 이곳에 위치한 제주목 관아 사적이 이를 잘 설명해준다. 그러나 산천의구란 말은 옛시인의 허사라던가. 제주시 홈페이지를 보니 지난 3월31일 기준 인구가 8300명 남짓. 옆동네 삼도일동만 해도 인구가 1만4천명이 넘는다. 삼도이동은 이름부터가 2동이다.이드콘 2019 발표 목록에 ‘제주 삼도2동 지역 화폐 도입 테스트 후기’라는 주제가 있다. 블록체인으로 옛 명성을 되찾자는 얘기인가? 잘 들어보면, 꼭 그걸 목표로 하는 것도 아니다. 13일 개발자

중학교를 자퇴한 채 보안·개발을 두루 섭렵하다
#댑
중학교를 자퇴한 채 보안·개발을 두루 섭렵하다
김외현 2019-05-17 13:00

 13일 오전 한 소년이 코인데스크코리아를 방문했다. 부산에서 왔다고 했다. 동그란 안경, 통통한 볼살, 깡총깡총 발걸음. 영락없는 중학생이다. 27일 이드콘 발표 주제도 ‘중학생도 만드는 IPFS 댑(dApp) 만들기’다. 되게 쉽단 얘기일까? 얘기를 듣다보니 아니다. 중학생도 아니다. 쉬운 얘기도 아니다. 한우영(15)은 엄연한 프로 개발자다.-프로그램 개발 일은 언제부터 시작했나?“6년쯤 됐다. 구구단을 배울 때였는데, 비주얼베이직으로 계산기를 만들었다. 그 뒤 윈도우, 웹, 안드로이드, iOS 등 여러 프로그램 개발을 했다.

이드콘 “국내 개발 커뮤니티에도 ‘떠벌릴 기회’ 주고파”
#컨퍼런스
이드콘 “국내 개발 커뮤니티에도 ‘떠벌릴 기회’ 주고파”
정인선 2019-05-16 13:00

오는 27~28일 이틀에 걸쳐 서울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이드콘 2019’(이하 이드콘)가 열린다. 이드콘은 국내 이더리움 개발 관련 컨퍼런스로선 처음으로 ‘커뮤니티 드리븐(community-driven)’ 방식을 택했다. 이더리움의 ‘탈중앙화 정신’을 ‘받든’ 셈이다.준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단 3명의 의기투합으로 출발했다. 행사를 3주가량 앞둔 지금은 20여 명으로 늘었다. 자원봉사 형태다. 60여명의 연사 선발, 행사 기획, 홍보 등 업무를 돈 한푼 받지 않고 분담한다. 대부분은 블록체인 업계 현업 ‘선수'들이다.


  • 처음처음
  • 1
  • 끝끝
Follow us
NEWSLETTER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채용
  • 한국
    • US
    • CHINA
    • JAPAN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