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News
  • Editor’s Pick
  • Events
  • CryptoQuant
  • News
  • Editor’s Pick
Bitcoin $31,320.53 ₩34,839,251 K-Premium 0.28%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암호화폐 대표 애널리스트 4명이 꼽은 2020년 주요 차트
#크립토 롱앤쇼트
암호화폐 대표 애널리스트 4명이 꼽은 2020년 주요 차트
Noelle Acheson 2021-01-04 23:12

2021년 첫 크립토 롱앤쇼트(Crypto Long & Short) 칼럼은 기존의 기사 형식에서 벗어나 카이코(Kaiko), 인투더블록(IntoTheBlock), 스큐닷컴(skew.com), 아케인 크립토(Arcane Crypto) 등 업계 대표 애널리스트들이 꼽은 지난해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차트를 모아봤다.암호화폐 시장 분석은 그 깊이와 우수성 면에서 지난 한해 큰 폭의 진전을 이뤘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생태계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라는 자산과 암호화폐 시장의 특별함과 매력에 대해 배웠다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년 인기기사 Top 10
#2020년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년 인기기사 Top 10
박근모 기자 2020-12-28 08:28

2020년 코인데스크코리아에서 가장 인기를 끈 기사 10개를 정리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의 안타까운 소식과 암호화폐 유튜버 스펑키 피습 사건, 박사방 사건 등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둘러싼 어두운 면이 유독 눈에 띄었습니다.반면 하반기에는 내년 3월 개정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을 앞두고 관련 논의가 활발히 이어졌습니다. 또 비트코인 가격이 2만달러를 넘나듦에 따라 다양한 분석도 관심을 받았습니다.1.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사망김태원 글로스퍼 대표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1985년생인 김 대표는 동국대에

2020년 블록체인 '올해의 인물'을 뽑아주세요!
#설문조사
2020년 블록체인 '올해의 인물'을 뽑아주세요!
코인데스크코리아 2020-12-11 10:58

코인데스크코리아가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 블록체인 업계의 2020년을 총정리합니다.설문조사 참여자 중 500명을 추첨으로 뽑아 3000원 상당의 밀크코인(MLK)과 3000원 상당의 페이코인(PCI) 등 총 6000원 상당의 에어드롭 이벤트를 진행합니다.독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설문 기간 : 12월 11일~21일 상품 : 3000원 상당 밀크코인(MLK) + 3000원 상당 페이코인(PCI) 당첨자 발표 : 12월 23일(개별연락) 상품전달 : 12월 중설문조사 바로가기forms.gle/ZW823T61wVJ6Tp

암호화폐 세금 안 내는 방법은…없다?
#세금
암호화폐 세금 안 내는 방법은…없다?
김병철 2020-07-27 17:00

기획재정부가 암호화폐(가상자산) 양도차익에 20%의 기타소득세를 매기는 세법개정안을 발표한 가운데, 일부 투자자들은 여러가지 탈세 방안을 셈하는 분위기다. 대부분 암호화폐 개인간(P2P) 전송은 국경의 장벽이 없고, 한국에 거주하면서도 국세청이 강제할 수 없는 국외 거래소를 사용하기 쉽다는데 착안한 방법들이다. 하지만 정부는 이런 우회로를 대부분 막을 수 있게 설계한 것으로 보인다. 하나씩 살펴본다. 1. 보유하던 암호화폐를 개인지갑에 옮겨서 보관해둔 뒤, 과세 시행(2021년 10월1일) 이후 거래소에 암호화폐를 입금하자마자 매도

[2020년 세법개정안] 암호화폐 세금 Q&A
#세금
[2020년 세법개정안] 암호화폐 세금 Q&A
김병철 2020-07-23 09:00

기획재정부가 22일 발표한 세법개정안을 보면,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내년 10월 매도분부터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 22%를 내야 한다. 국외 거래소에서 투자한 암호화폐도 모두 신고 대상이다. 암호화폐 관련 세법개정안 내용을 Q&A로 풀어봤다. 1. 신고기간, 방법―암호화폐 과세는 언제부터인가?2021년 10월1일 이후 발생한 양도소득부터 적용한다. 그 전의 양도소득은 과세하지 않는다.―과세 기간은?소득세법에 따라 과세기간은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1년이다.―첫 신고·납부는 언제?2022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함께 신고 후

내년 10월부터 암호화폐 투자소득 22% 세금 낸다
#세금
내년 10월부터 암호화폐 투자소득 22% 세금 낸다
김병철 2020-07-22 14:00

2021년 10월부터 암호화폐(가상자산)도 주식, 부동산처럼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한다. 기타소득으로 연 1회 20%를 분리과세한다. 국외 거래소에서 투자 중이라면 국세청에 모두 신고해야 한다.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0년 세법개정안'을 22일 발표했다. 정부안은 국회 심의를 거치면서 수정될 수 있으며 국회를 통과하면 시행된다.기재부는 양도소득과 기타소득 가운데 결국 기타소득 세목을 결정했다. 국제회계기준 해석위원회(IFRIC)가 영업 외 가상자산을 무형자산으로 처리하며, 국내법상 상표권 등 무형자산 소득도 기타

암호화폐 과세안, 국내 거래소들에 반사이익 되나
#세금
암호화폐 과세안, 국내 거래소들에 반사이익 되나
김동환 기자 2020-07-22 14:00

암호화폐 과세 논의가 시작되면서 투자자들이 국외 거래소로 이탈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법안을 살펴보면 국내 거래소가 도리어 일부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커보인다.22일 기재부가 발표한 '2020년 세제개편안'에 따르면 국외 거래소를 이용하는 투자자는 2021년 10월부터 국세청에 계좌를 신고해야 한다. 기재부는 해외금융계좌 신고대상에 가상자산을 추가하는 내용으로 관련법을 고칠 예정이다. 신고를 하지 않았다가 추후 적발되면 최대 60%까지 가산세를 내야 한다. 게다가 투자자에게 매년 세금 신고의무를 지우도록

'2020년의 절반' 상반기 인기기사 Top 10
#2020년 상반기
'2020년의 절반' 상반기 인기기사 Top 10
박근모 기자 2020-06-30 21:00

편집자 주. 2020년 상반기에는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CBDC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졌고, 개정 특금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블록체인 기술과 제도의 만남을 고민하게 했습니다. 암호화폐 유튜버 스펑키의 피습 사건과 성착취 동영상을 유통시킨 'n번방', '박사방' 사건도 암호화폐 업계를 달궜습니다. 코인데스크코리아의 상반기 기사 가운데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기사는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의 안타까운 소식이었습니다. 올 상반기 코인데스크코리아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기사 10개를 살펴봅니다. 1.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사망

#리브라
2020년, 워싱턴은 암호화폐에 신경 쓸 겨를 없다
FiscalNote 2020-01-07 16:00

코인데스크코리아가 미국의 기술·언론 기업 피스컬노트(FiscalNote)와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의 블록체인·암호화폐 규제 동향을 소개하는 콘텐츠 ‘워싱턴브리핑 by Fintech Beat’를 주1회 발행합니다. 피스컬노트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통해 각종 정책 자료와 관련 기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제공하는 IT 서비스 기업으로, 산하 매체인 씨큐앤롤콜(CQ and Roll Call)이 엄선한 미국의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콘텐츠를 코인데스크코리아에 제공합니다.2020년, 워싱턴은 암호화폐에 신경 쓸 겨를 없다크리스마스와 새해

2020년 신년사에서 블록체인을 언급한 곳은?
#블록체인
2020년 신년사에서 블록체인을 언급한 곳은?
김병철 2020-01-02 21:15

기업과 지자체장 등이 2020년 신년사에서 블록체인을 언급했다. 이들은 4차산업혁명기술 중 하나인 블록체인을 강조하며, 기술혁신에 뒤쳐져선 안된다는 메시지를 냈다.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은 "‘옴니 디지털 루프’를 구현하기 위한 전사적 디지털화를 가속한다"면서 "밀레니얼과 Z세대를 중심으로 생활 깊숙이 스며든 소셜 미디어,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이 이끄는 초디지털 기술의 변화 속에서 고객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할 수 있는 독자적인 디지털 루프를 키워낼 예정"이라고 말했다.허태수 GS 회장은 “현재 우리를 둘러싼 환경은 매우 빠른

[미니칼럼] 블록체인 산업, 2020년도 쉽지 않다
#미니칼럼
[미니칼럼] 블록체인 산업, 2020년도 쉽지 않다
김병철 2019-12-24 08:00

"마지막 인사를 드립니다. 그동안 감사했습니다"최근 한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홍보담당자로부터 퇴사를 알리는 이메일을 받았다. 돌이켜보면 올 한해 이와 비슷한 연락을 여러 차례 받았다. 금융업계에서 암호화폐의 미래를 보고 이직했던 다수가 다시 여의도로 돌아가는 것도 지켜봤다. 한 애널리스트는 "내가 암호화폐 업계에 늦게 왔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너무 빨랐다"라고 말했다.2020년은 어떨까? 아마도 이런 소식을 더 자주 접하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 주요 원인은 암호화폐 산업을 부흥시킨 암호화폐공개(ICO)의 몰락이다. ICO에 투자하


  • 처음처음
  • 1
  • 끝끝
Follow us
NEWSLETTER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채용
  • 한국
    • US
    • CHINA
    • JAPAN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