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피디아] 페이에서 대출까지, 금융플랫폼 꿈꾸는 네이버
① 네이버파이낸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병철
김병철 2020년 10월1일 11:30
출처=네이버파이낸셜 웹사이트 캡처
출처=네이버파이낸셜 웹사이트 캡처

 

1. 요약

네이버파이낸셜은 네이버의 금융 자회사다. 간편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를 담당하는 CIC(사내독립기업)가 2019년 11월 분사했다. 금융회사와 제휴를 통해 간편결제를 넘어 투자상품, 보험, 예·적금 등을 제공하는 금융 플랫폼을 목표로 한다. 지난 6월 '네이버통장'을 출시했다.

 

2. 연혁

2015년 
6월 네이버페이 출시

2018년
03월 환전 서비스 시작 (with 신한은행)
12월 네이버페이 오프라인 QR결제 시작 (with 제로페이)

2019년
04월 퀵에스크로 서비스 시작 (with 미래에셋캐피탈)
06월 일본 오프라인 QR결제 시작 (with 라인페이)
09월 은행, 카드, 증권계좌 통합조회 서비스 '내 자산' 시작
11월 네이버파이낸셜 법인 설립

2020년
01월 미래에셋그룹의 8000억원 투자 유치
06월 '네이버통장' 출시 (with 미래에셋대우)
06월 보험대리점(GA) 자회사 NF보험서비스 설립

네이버페이 모바일 화면. 출처=네이버 블로그
네이버페이 모바일 화면. 출처=네이버 블로그


3. 사업

네이버페이

네이버파이낸셜의 근간은 간편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다. 신용·체크카드, 은행계좌를 연결해 간편결제, 해외결제, 간편주문, 송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네이퍼페이 가입자는 5년 동안 꾸준히 늘어 현재 약 3000만명이며, 월간 결제자는 1250만명이다. 네이버 월간 순이용자(MUU)가 3795만명(6월 기준)이니, 네이버 이용자의 1/3이 네이버페이를 사용하는 셈이다.

2020년 네이버페이 거래액은 1분기 5조원을 넘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쇼핑이 늘어나면서 상반기엔 전년 대비 약 40% 성장한 11조2009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페이의 결제액은 4조8483억원이었다. 

 

네이버페이 결제액(단위: 억원)

구분 거래액(순결제기준) 전자금융업 영업이익
2015년 9,935 -6.95
2016년 39,033 -111.06
2017년 72,152 -377.65
2018년 113,475 -657.45
2019년 161,813 -439.58
2020년 112,009 100.74

*2015년은 6월25일부터, 2020년은 상반기 기준. 출처=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 제공

네이버는 네이버페이를 활용해 쇼핑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네이버페이로 결제할 수 있는 온라인 가맹점은 내부 스마트스토어와 외부 쇼핑몰 등을 포함해 44만개다. 오프라인 가맹점은 모두 (네이버페이와 연계된) 제로페이 가맹점으로 60만개다.

네이버파이낸셜은 2020년 6월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통장'을 출시했다. 출처=네이버 제공
네이버파이낸셜은 2020년 6월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통장'을 출시했다. 출처=네이버 제공

네이버통장

네이버가 네이버파이낸셜을 설립한 이유는 금융플랫폼을 만들기 위해서다.

그 시작은 '통장'이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미래에셋대우와 함께 수시입출금 종합자산관리계좌(CMA)인 '네이버통장'을 지난 6월 출시했다. 

네이버통장과 연동된 네이버페이로 월 10만원 이상 결제하면, CMA의 100만원까지는 연 3% 우대금리를 적용받는다. 전월 결제액이 10만원 미만이면 금리는 연 1%다. 또한 네이버페이 충전∙결제 시 네이버페이 포인트가 3% 적립된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네이버통장 가입자는 44만명이다. 이는 출범 3개월 후 435만명을 확보한 카카오뱅크의 1/10 수준으로 바짝 긴장했던 은행권은 안도하는 분위기다. 출시 당시 결제액 상관없이 제공하던 3% 금리 혜택이 끝나면서 가입자 증가도 줄어드는 추세다.

이름을 둘러싼 논란도 있었다.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CMA 상품인데 ‘통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네이버'를 앞세우면서 금융기관이 아닌 네이버가 은행통장을 만든 것처럼 오해를 부른다는 지적이다.

이는 실제 이용자의 항의보단 은행권의 견제구 성격이 더 컸다. 결국 금융감독원은 명칭 변경을 권고했고, 네이버는 7월 초 '네이버통장'에서 '미래에셋대우CMA네이버통장'으로 상품명을 바꿨다.

 

'네이버대출'

네이버통장 다음으로 출시될 상품은 이른바 '네이버대출'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미래에셋캐피탈과 함께 ‘소상공인(SME) 대출’을 연내에 내놓을 예정이다. 주 대상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입점한 판매자들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SME대출을 통해 금융 이력이 적은 사업자(Thin-filer)들도 은행권 수준의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매장이 없거나 소득이 없어도 네이버쇼핑에서 일정금액 이상의 매출만 있으면 신청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파이낸셜은 자체 ACSS(Alternative Credit Scoring System: 대안신용평가시스템)를 구축하고 있다. 네이버페이의 판매현황, 품목, 반품률, 쇼핑등급 등 전자상거래 데이터를 분석해 신용을 평가하고 대출심사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담당하는 김유원 네이버파이낸셜 데이터랩 박사는 "기존 신용평가회사(CB)가 가진 금융 데이터에 판매자들의 실시간 매출 흐름을 더하고 여기에 네이버의 최신 머신러닝 알고리즘, AI, 빅데이터 처리 기술 등을 활용해 ACSS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제도적 준비도 갖췄다. 금융위는 지난 6월 핀테크 기업이 개발한 혁신적 금융서비스를 금융기관과 함께 시범운영(테스트)하게 허용하는 '지정대리인' 제도에 두 회사를 선정했다. 

네이버페이 '내 자산'에서 은행, 증권 계좌와 카드내역을 조회해 볼 수 있다. 출처=네이버 블로그
네이버페이 '내 자산'에서 은행, 증권 계좌와 카드내역을 조회해 볼 수 있다. 출처=네이버 블로그


금융기관 제휴 전략

한국의 양대 빅테크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금융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지만 전략은 전혀 다르다. 카카오는 인터넷은행 설립, 증권사 인수 등 당국의 라이선스를 받는 직접 진출을 택했다. 

반면 네이버의 전략은 기존 금융기관과의 제휴다. 금융당국의 진입규제, 감독 등 깐깐한 금융 법령을 우회하면서 간접적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인터넷은행 진출에도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네이버파이낸셜 관계자는 "금융상품 하나를 내놓으면서 모든 걸 다 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받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SME대출은 금융회사 제휴로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향후엔 어떻게 될진 모르지만, 지금은 제휴 방식이 더 낫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법령상 네이버파이낸셜은 전자금융업자로 간편결제 사업정도만 할 수 있다. 은행법, 자본시장법 등 금융법령 적용 대상이 아닌 비금융회사다. 그러나 향후 금융상품을 판매대리, 중개하는 서비스를 출시하면, 내년 시행 예정인 금융소비자보호법 적용은 받을 수 있다. 네이버파이낸셜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금소법 등) 라이선스를 딸 것"이라고 했다.

최인혁 네이버파이낸셜 대표는 지난 5월 "이용자 혜택을 강화한 '네이버통장'을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투자상품, 보험, 예·적금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했다. 그러나 금융권의 견제 속에 신규 서비스 출시가 늦춰지는 분위기다.

네이버파이낸셜 관계자는 "투자상품은 주식 등을 말하는 건데 출시 예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보험도 올해 출시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지난 7월 네이버파이낸셜이 준비하던 ‘자동차보험 비교견적 서비스’가 고수수료 논란에 휘말렸고,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은 제휴 논의에서 빠졌다. 


기울어진 운동장 논란

'기울어진 운동장' 논란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금융회사는 높은 수준의 규제를 받는 데 반해, 빅테크는 적용 대상이 아니라 '규제 역차별'이라는 게 금융권의 항의다. 

가장 목소리 높이는 건 카드사 등 여신업계다. 금융위는 지난 7월 '디지털금융 종합혁신방안'을 발표하면서, 전자금융거래법을 개정해 간편결제업체에 후불결제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한도는 30만원으로 사실상 신용카드처럼 외상거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간편결제 충전 한도도 2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올릴 계획이다. 

금융위가 새로 도입하려는 종합지급결제사업자 제도에서도 카드사는 빅테크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준은행 개념인 이 제도는 급여 이체, 카드대금·보험료·공과금 납부 등 계좌 기반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네이버파이낸셜이 이 사업자가 되면 예금과 대출 빼고 거의 모든 은행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카드, 캐피탈 업계를 대변하는 김주현 여신협회장은 지난 6월 "카드 산업은 강력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고객 접점을 장악해 나가고 있는 거대 핀테크사와 경쟁에 직면해 있다"면서 "카드 산업이 핀테크사와의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금융권의 불만이 커지자, 금융당국은 금융권·핀테크사와 협의를 위한 디지털금융협의회를 만들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7월 간담회에서 "정부도 금융산업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이 나타나지 않도록 공정한 심판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24일 2차 디지털금융 협의회에서 나온 발언이다. 

금융권

"핀테크와 빅테크는 구분해야 한다. 기존 금융권과 경쟁 이슈가 낮고, 상대적으로 소규모인 핀테크에 대해서는 '육성'의 시각에서 접근하되, 플랫폼을 갖추고 시장경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빅테크 기업은 '경쟁질서' 측면에 집중해야 한다. 기존 금융권도 '동일기능 동일규제' 원칙 하에서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

빅테크, 핀테크 업계

"'빅테크'에 대한 우려는 다소 과장됐다. 국내 플랫폼 기업의 금융업 진출은 아직 초기 단계로, 시장규모 등을 볼 때, '금융의 플랫폼 종속' 우려는 아직 시기상조다. 금융시장의 진입장벽은 높은 수준으로, 오히려 진입장벽을 낮추고 혁신을 활성화하는 논의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 회사

네이버는 2019년 11월1일 네이버페이 서비스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네이버파이낸셜을 설립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의 지분은 네이버가 70%, 미래에셋그룹이 30%(8000억원 투자)를 보유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네이버에서 기술, 서비스, 비즈니스 영역 등을 총괄하는 최인혁 최고운영책임자(COO)가 겸직한다. 2000년 5월 입사한 최 COO는 한성숙 대표와 함께 네이버 사내이사 2명 중 1명으로, 올해 상반기 보수는 20억7200만원이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