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빌의 과감한 ICO 모델, 규제 당국에 돌직구를 던지다
일반 대중 상대로 토큰 판매...네트워크 사용해야만 토큰 처분 가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rady Dale
Brady Dale 2018년 10월10일 06:40
이미지=Getty Images Bank


 

언론 개혁을 꿈꾸는 블록체인 스타트업 시빌(Civil)은 지난달 자격을 따지지 않고 모든 투자자에게 암호토큰을 판매했다.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콘센시스(ConsenSys)의 투자를 받은 시빌의 이번 결정은 최근 토큰 판매 관행을 거스르는 행보로 보인다. 시빌의 ICO는 실제로 이더리움 가격이 폭락하고 암호 화폐 업계가 어렵게 쌓은 신뢰를 무너뜨렸다는 등 갖가지 이유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원하는 누구에게나 암호토큰을 미리 판매해 새로운 탈중앙화 미디어 플랫폼에 드는 재원을 확보한다는 시빌의 원래 취지에 대해 업계의 많은 관계자가 회의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여타 규제기관들이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정을 검토하고 실제 시장에 개입하면서 회의적인 시각은 한층 짙어졌다.

이런 이유로 올해 들어 창업자들, 특히 미국에 근거지를 둔 창업자들은 증권거래위원회가 자격을 인증한, 고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부유한 공인 투자자로부터만 자금을 모으려 하고 있다. 누구에게나 토큰을 판매하겠다는 시빌의 선택이 오히려 어려움을 자초하는 악수로 보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시빌의 CEO 매튜 아일스(Matthew Iles)는 코인 데스크에 이렇게 밝혔다.

“사업을 하다 보면 걱정거리가 한둘이 아니다. 특히 앞을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이 시장에는 당국의 규제뿐만 아니라 너무나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아일스의 이 발언에서 시빌이 공개 토큰 판매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프레임워크를 마련해뒀다는 시빌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콘센시스 주도로 설립된 브루클린 프로젝트(Brooklyn Project)가 지난달 초 발표한 소비자 토큰 프레임워크(consumer token framework)는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는 탈중앙화 세계지도 프로젝트 폼(FOAM)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 프레임워크는 반드시 따라야 하는 규정이 아니라 권장 사항 혹은 논의해볼 만한 지점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여기에 기술된 지침에 따라, 예를 들어 시빌은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을 처분하려면 네트워크에 먼저 참여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아일스는 이 아이디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네트워크 출범 초기부터, 이용자가 토큰을 사용한 투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 활용 등 기본적인 사용법을 배워서 시스템에 익숙해지도록 아주 쉬운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이용자가 이러한 훈련 과정을 통해서 네트워크 참여와 토큰 사용을 증명하면 토큰을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다.”

 

투기가 아니라 실제 토큰 사용 


토큰 판매가 투기가 아니라 실제로 쓰일 토큰을 파는 것으로 인정받기 위해 시빌은 우선 토큰 판매가 이용자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는 취지를 내세웠다.

이용자는 토큰 파운드리(Token Foundry)를 통한 신규 이용자 등록 절차의 일환으로 일종의 퀴즈를 풀어야 한다. 암호토큰과 블록체인의 작동 방법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증명하는 절차다. 또한, 토큰을 구매하고 난 후 지갑에 ‘사용 증명(proof-of-use)’이라고 불리는 일정 수준의 사용 기록이 없으면 지갑에 보유한 토큰을 처분하지 못한다. 따라서 토큰 소유자는 먼저 프로토콜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음을 증명해야 하고, 이어 소규모 구매자는 보유한 토큰의 25%, 대규모 구매자는 50%를 플랫폼에서 사용해야 토큰을 처분할 수 있다. (싼값에 사서 들고만 있다가 값이 올랐을 때 차익을 노리고 팔 수 없는 것이다)

토큰 판매가 완료되고 나면 곧 시빌 프로토콜이 가동되고 토큰을 산 이들은 어렵지 않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프로토콜을 개발하기도 전에 토큰부터 팔아 투자를 받고 이 돈으로 프로토콜을 개발하겠다는 생각으로 ICO를 진행해 온 다른 토큰 사업자들과 분명히 차별되는 지점이다.

하지만 시빌의 진짜 목표는 저널리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시빌은 저널리즘의 미래를 생각하는 모든 이들에게 프로젝트에 참여하라고 권유하는 데 그치지 않고, 프로토콜을 선보이는 첫날부터 즉시 토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미리 갖춘 것이라고 아일스는 설명했다.
“목표 달성에 필요한 추진력을 얻기 위해 제대로 된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따라서 반드시 보통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콘센시스 벤처(ConsenSys Venture)로부터 5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시빌은 총 1억 개의 토큰 중 3,400만 개를 일반 대중에게 팔아 2,400만 달러를 우선 모은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난달 18일 시작한 토큰 판매는 일단 오는 1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목표한 금액을 채우지 못하면 더 연장될 수도 있다. 시빌의 프로토콜은 토큰 판매가 끝난 뒤 곧바로 가동될 예정이다. ICO 종료에 필요한 목표 금액은 800만 달러다.

 

뉴스룸 구축


시빌의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맞이하는 시장 상황은 녹록지 않다. 암호화폐 시장은 침체했고, 특히 시빌 토큰(CVL)이 자리 잡은 이더리움의 자체 토큰 이더(ETH) 가격이 폭락한 상황에서 구매자들은 예전과 같이 암호 토큰을 선뜻 매입하지 않는다.

그래도 시빌 토큰이 프로토콜 출시와 함께 곧바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매력적이다. 이용자가 토큰을 일단 구매하면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큰 천 개를 사용해서 뉴스룸 하나를 개설할 수 있다. 프로토콜에 개설된 모든 뉴스룸은 윤리적 저널리즘을 표방하는 시빌 헌법(Civil’s constitution)을 준수해야 하고, (목록에 등재될 후보를 반대하거나 기존 등록자를 탄핵하는 절차를 통해 목록의 품질을 관리하는) 토큰 선별 레지스트리(token-curated registry)에 등재되어야 한다.

이미 지역 언론이나 문화 분야 뉴스를 소개하는 여러 뉴스룸이 시빌에 둥지를 튼다고 발표했다. 또한, 스타트업인 시빌에 특히 중요한 AP 통신과의 제휴 작업도 계속 진행 중이다. 시빌은 지난 8월 말 AP통신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계약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토큰을 보유한 이들은 언제든 뉴스룸이 시빌 헌법을 준수하지 않으면 토큰을 걸고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다른 토큰 소유자들은 자신의 토큰을 사용해 문제에 투표할 수 있다. 투표 결과, 이의 제기가 부당하다고 판명되면 이의를 제기한 토큰 소유자는 토큰을 돌려받지 못한다.

또한, 조만간 이용자가 시빌 토큰으로 저자에게 팁을 주거나 뉴스룸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을 예정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모든 콘텐츠가 이더리움에 저장되므로 시빌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콘텐츠를 보관하고 출처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인터넷에서의 심각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모든 실험이 그렇듯 가설을 증명하려면 꽤 큰 샘플이 필요하다. 시빌이 더 많은 일반 대중에게 토큰을 판매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유용성과 법규 준수


아일스가 코인데스크에 밝힌 바에 따르면 시빌은 이미 지난 여름에 백서를 발간했지만, 프로토콜을 구축하느라 ICO를 미루어왔다. 아일스는 지난해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과정이 마치 “죽을 힘을 다해 뛰는 경주” 같았다고 말했다.

동시에 콘센시스가 투자한 브루클린 프로젝트는 증권법을 연구해서 일반인에게 암호토큰을 판매할 수 있는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적 근거를 찾기 시작했다. 브루클린 프로젝트의 가이드라인 작성에 참여한 변호사인 콘센시스 법무팀의 팻 베라더치는 코인데스크에 이렇게 말했다.
“소비를 목적으로 한 유사 소비재 상품의 판매에는 관례로 증권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과거 사례를 가지고 미래를 예단하는 것과 이 논리를 들어 규제기관을 설득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일이다.

규제기관이 시빌의 논리에 동의할지는 미지수이다. 이는 시빌을 포함해서 비슷한 프레임워크에 기댄 모든 기업이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규제기관들이 토큰이 판매될 때까지 방관할지, 어느 순간에 개입할지도 기업은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규제를 들고나오는지 일단 지켜보거나 규제 조처가 나오면 법원이 자신들의 편에 서기를 기대하는 수밖에 없다.

아일스는 “시빌과 다른 기업들의 노력이 열매를 맺어 우리 프로젝트가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라며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시빌 플랫폼의 유용함과 가치를 알리고 싶은 것이 더욱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말했다.

시빌에 매우 중요한 점은 “모든 것은 사실과 정황으로 귀결”된다는 변호사 투의 말을 인용할 때 브루클린 프로젝트의 프레임워크를 근거로 내세울 수 있다는 사실이다. 베라더치는 이렇게 말했다.

“약 8개월에 걸쳐 이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다. 프로젝트, 변호사, 그리고 규제기관과 정책 입안자들이 토큰 프로젝트의 중요한 문제점과 논제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내용을 여기에 담았다.”

업계에서 부정적인 견해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법의 테두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길이 열려 있다며 베라더치는 말했다.

“아직 배울 점이 많다. 실험해 볼 것도 아직 많이 남아 있다.”

번역: 뉴스페퍼민트
· This story originally appeared on CoinDesk, the global leader in blockchain news and publisher of the Bitcoin Price Index. view BPI.
· Translated by NewsPeppermint.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