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비밀 관리에 블록체인 도입? 전문가들 "말도 안돼"
블록체인 전문가들은 어리둥절한 반응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수연
한수연 2018년 10월12일 11:24
국방부가 최근 군의 비밀 관리 체계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 소식을 접한 블록체인 전문가들은 어리둥절한 반응이다. 비밀 관리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국회 국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아 지난 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방부는 안보지원사령부를 대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시범 사업을 운용 후 확대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사진=국방부 홈페이지
사진=국방부 홈페이지


 

국방부는 올해 5월부터 한국국방과학연구소(ADD)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국방 분야에 도입하는 방안을 연구해왔다. 지난 9월 20일에는 ADD와 '블록체인 기반 전군 비밀관리체계에 대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면 군내 비밀자료에 대한 정보의 투명성 및 보안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런 국방부의 블록체인 도입 방침에 대해 블록체인 전문가들은 '기밀성 유지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의견을 냈다.

김승주 고려대학교 사이버국방학과 교수는 "블록체인과 가장 상극인 기밀성(confidentiality) 분야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려는 것인가?"라고 일침을 가했다. 그는 코인데스크코리아와의 통화에서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을 도입한 사례는 없다"고 짚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미국 등 해외 군대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경우가 있지만 이는 비밀 유지를 목적이 아니다. 가용성을 높이거나 군에 납품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할 목적이다. 김 교수는 "블록체인의 기술적인 특징 중 하나인 '가용성의 극대화'는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곳에 분산 저장해 생기는 특징"이라면서 "예를 들어, (데이터가 저장된) PC 한 대가 해킹당해도 다른 PC에 있는 데이터를 복사해올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가용성이 극대화된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정보의 위·변조 방지 등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국방부의 발표에 대해 "위·변조 방지만을 목표로 한다면 굳이 블록체인을 쓸 필요가 없다. 가령 전자서명 기술을 쓰면 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용대 카이스트 전자공학과 교수 역시 "블록체인 기술은 기밀성을 제공하지 않는다"며 "기밀성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도입은 적당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김용대 교수는 "데이터 암호화나 키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블록체인 내 데이터를) 완전하게 관리할 수도 있겠지만, 군사 비밀 정보를 꼭 블록체인 기술로 여러 군데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가"라고 말했다.

블록체인에 군대의 비밀 데이터를 올리면 분산 저장된 지점만큼 기밀성을 유지해야 할 지점이 늘어난다. 암호화를 아무리 잘해도 보안이 뚫릴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김용대 교수는 "기밀성 분야에는 원리적으로 블록체인을 쓰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한편, 김진표 의원은 지난 9일 국방부의 블록체인 도입 추진에 대해 "군의 블록체인 도입을 환영한다"라며 "전군의 비밀 관리 체계에 보안성 및 효율성 극대화 등 기대 효과가 매우 크다"라고 평가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